아이 키우는 가정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아이돌보미 서비스’.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가정 등에서 육아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돌봄지원 제도입니다.
하지만 서비스 유형별 요금 체계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시간제, 종일제, 긴급 돌봄 유형별 요금과 함께,
소득 수준별 본인부담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목차
1. 아이돌보미 서비스 요금체계 기본 구조
아이돌보미 서비스는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이용자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지원 비율은 소득 수준에 따라 1~5등급으로 나뉘며, 소득이 낮을수록 부담금이 적습니다.
- 기준단가: 시간당 11,600원 (2025년 기준)
- 정부지원율: 최대 94% (1등급) ~ 최소 45% (5등급)
- 차등구간: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부터 고소득층까지
2. 소득 수준에 따른 본인부담금 기준표
아래는 2025년 기준으로 시간제 돌봄 이용 시 본인부담금 예시입니다.
등급 | 소득 기준 | 시간당 본인부담금 | 정부지원율 |
---|---|---|---|
1등급 | 기초생활수급자 등 | 700원 | 94% |
2등급 | 차상위 계층 | 1,200원 | 90% |
3등급 | 중위소득 75% 이하 | 2,200원 | 81% |
4등급 | 중위소득 120% 이하 | 3,600원 | 70% |
5등급 | 중위소득 초과 | 6,480원 | 45% |
※ 본인부담금은 1시간 기준이며, 서비스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3. 서비스 유형별 비용 차이 (시간제/종일제/긴급지원)
서비스 유형에 따라 이용 가능한 시간, 지원 시간 한도, 요금 단가가 달라집니다.
구분 | 시간제 | 종일제 | 긴급지원 |
이용시간 | 1~5시간 | 6시간 이상 | 최대 24시간 이내 |
기본 단가 | 시간당 11,600원 | 1일 60,000원 내외 | 동일 단가 적용 |
지원 시간 한도 | 월 120시간 | 월 200시간 | 2025년부터 월 80시간 |
신청 방식 | 정기예약 | 정기예약 | 당일 긴급 신청 가능 |
특이사항 | 가장 일반적 | 장시간 돌봄 필요시 | 갑작스러운 질병·사고 등에 사용 |
긴급지원은 특히 정부지원 시간이 2025년부터 40시간 → 80시간으로 확대되어,
급하게 아이를 맡겨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맺음말
아이돌보미 서비스는 정부의 실질적인 육아 지원정책 중 하나로,
소득 수준에 따라 이용 요금 부담이 크게 달라집니다.
시간제, 종일제, 긴급지원 등 각 유형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가정에 맞는 유형을 선택하면 가성비 높은 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은 아이돌보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거주지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문의해 상담도 가능합니다.
'정부 지원 및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 정보] 금융거래 실시간 알림 서비스 종류와 신청 방법 안내 (1) | 2025.04.01 |
---|---|
[정책 정보] 디지털 금융교육 정책 총정리(디지털 금융교육 확대|고령층·청소년 모두 지원) (0) | 2025.04.01 |
[정부 정책]2025년부터 우체국에서 예금·대출까지!|은행 업무 본격 시작 (0) | 2025.04.01 |
[정책 정보] 아이돌보미 자격 요건 및 정부 교육과정 안내 (0) | 2025.04.01 |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대상 및 요금 변경 총정리 (0) | 2025.04.01 |
구직자 도약보장 패키지란?|신청 방법부터 혜택까지 쉽게 정리 (0) | 2025.03.29 |
재취업활동계획서 잘 쓰는 법|고용센터 상담 준비 체크리스트 (1) | 2025.03.29 |
2025년 실업인정제도 이렇게 바뀝니다|재취업활동계획서 필수 대상 확인 (1) | 2025.03.29 |